안녕하세요.

브랜드와 중국 소비자와의 만남을 설계하는 올리브 마케팅입니다.

최근 중국에서 유료 라이브 방송의 열풍이 불고 있다고는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유료 라이브 방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스핀하오, 도우인, 콰이쇼우 세가지 플랫폼의 유료 라이브 방송 형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스핀하오: 음성 유료 라이브 방송

위챗의 동영상 서비스인 스핀하오 공식 계정은 유료 라이브 방송을 강력 홍보하고 있고 음성 유료 라이브 방송이 주력입니다.

위챗 라이브 메인에 들어가 보면 추천 채널 아래에 '유료방송'이 많이 생겼습니다.

보통 유료 라이브 방송을 3분 정도 무료로 볼 수 있고 더 보고 싶으면 '微信豆(위챗콩, 위챗에서 가상의 아이템을 구매하는데 사용, 1위안=10개 微信豆 )'로 지불하고 시청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방송의 형식은 음성과 영상 두 가지로 나누어 앵커들이 스스로 설정할 수 있고 유료 조건도 정할 수 있습니다.

스핀하오 유료 라이브 방송 예시

유료 생방송 장르가 '스포츠 대회'나 '온라인 음악회' 등의 단일 카테고리에서 벗어나 KOL 및 일반 사용자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올해 1월에 스핀하오 첫 유료 라이브 방송이 진행 되었는데, 방송 내용은 NBA 정규시즌이고 시청자가 3분 동안 무료 시청할 수 있고 더 보고 싶으면 9위안을 지불해야 계속 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 유료 라이브 방송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플랫폼에서 랜덤으로 지정된 것으로, 이들 블로거는 KOL이 아니고 팔로워수도 많지 않습니다. 내부 테스트를 거치면 라이브 설정 페이지에 '付费可见(비용을 지불하면 볼 수 있다)' 옵션이 추가됩니다.

플랫폼으로서는 유료 라이브 방송을 통해 라이브 방송 '打赏'(보상, 시청자들이 앵커에게 일종의 장려금으로 감사를 표시하는 것)'외 수입이 확대된 것이 분명합니다.

기존에는 무료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자들이 받은 '打赏'의 50%를 플랫폼 쪽에게 제공했는데 유료 라이브 방송을 시작하고 나서 앵커들이 유료 라이브 방송 수익의 10%도 플랫폼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유료 라이브 방송 권한을 가진 앵커들의 콘텐츠 퀄리티가 그리 높지 않고 콘텐츠의 독특성 또한 모두 유료화 기준에 미달하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도우인: 유료 连麦

(중국 인터넷 용어로 앵커와 연결하고 상담하는 음성 채팅)

도우인은 지난해 8월 유료 라이브 방송을 시작했으며, 공식 계정은 전문 가수, 밴드, 화제성이 높은 스타들을 섭외해 '여름 콘서트'라는 특집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한 달 뒤 도우인 유료 라이브 방송은 2.0 버전으로 더 세분화된 전략을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시청자들이 무료로 라이브 방송을 볼 수 있지만 앵커들과 연결하고 상담하고 싶으면 일정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형태로 말이죠.

 

'유료 连麦'는 올해 홍보되었는데요. 도우인이 3월 7~13일 일주일간 '유료 连麦' 이벤트를 진행하고 유료 라이브 방송 진행자를 대거 추천했습니다.

'유료 连麦' 이벤트 포스터

 

도우인 '유료 连麦' 앵커 랭킹에 따르면 앵커의 유형은 대부분 감성 블로거, 심리 상담사, 강사 등 있습니다.

'유료 连麦'의 비용은 앵커들이 설정하고 형태는 '음성 连麦', '영상 连麦' 두 가지 있습니다.

하지만 앵커의 수준은 다소 차이가 있는걸로 보입니다.

콰이쇼우: 전면적인 유료 라이브 방송 시스템

콰이쇼우의 유료 라이브 방송은 ‘기반'이 가장 잘 갖춰어 있고, 전문성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付费内容广场’(유료 콘텐츠만 모아 놓은 카테고리)에 인기 수업, 인기 엔터테인먼트, 유료 녹화 방송, 유료 라이브 방송 등 카테고리가 있어 매우 다양합니다.

라이브 방송 카테고리 안에 100개 가까운 라이브 방송 예고를 제공하고 있으며, 가격은 1-9,800위안입니다. 라이브 방송의 유형은 비교적 다양합니다.

방송은 무료로 3분 동안 시청할 수 있고 리뷰를 한 번 할 수 있으며 무료 시청 시간이 지나면 리뷰를 할 수 없습니다.

콰이쇼 유료 라이브 방송 예시

지금까지 스핀하오, 도우인, 콰이쇼우 세 플랫폼의 유료 라이브 방송 형식을 소개했는데요.

쓰핀하오, 도우인, 콰이쇼우는 각각 다른 형태의 유료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료화 결과를 보면 많은 유저들이 유료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걸로 보아 전망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료 라이브 방송은 경제적 효과와 함께 라이브 방송의 기준을 높여 유저 규모를 키워야 하는 계정이나 플랫폼에 대해서는 더욱 많은 방면에서 고려하고 신중하게 선택해야 할 듯 합니다.

중국 시장 트렌드를 읽어주는 올리브 마케팅의 다음 포스팅을 기대해 주세요.

I'll be Back~~

www.olive-m.com  

 

 

중국 온라인 마케팅, 왕홍 마케팅 솔루션|올리브 마케팅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중국 온라인 & 왕홍 마케팅을 만나보세요.

www.olive-m.com

 

안녕하세요 올리브 마케팅입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 또한 여성의 온라인 소비 능력이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주목받는 중국의 '여성 경제' 관련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자료는 'Quest Mobile 2022 她经济”洞察报告' 를 근간으로 하고 있습니다.)

1. 중국 여성 온라인 사용자 분석

중국 여성 온라인 사용 규모

인터넷 환경이 고속으로 발전함에 따라, 여성 인터넷 사용자의 규모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보입니다.

2018년부터 매년 평균 약 3.4%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요.

2022년 올해 1월까지 약 5.82억 명에 달하는 여성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49.3%를 차지하는 규모입니다.

2022년 1월 중국 여성 사용자 분석

중국 인터넷 여성 사용자 증가 추세를 연령과 거주 도시별로 분석해 보면 재미있는 트렌드를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여성 사용자 중 51세 이상의 사용자가 전년대비 3.7% 증가하였고,

3,4선 및 5선 이하의 도시 거주자는 전년대비 2.4% 증가하여

하침시장 (3,4선 도시 이하의 지역)노인 연령층이 여성 사용자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여성 인터넷 사용자 소비 능력 분석

그렇다면, 여성 온라인 소비 트렌드는 어떨까요?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비용 : 1,000위안 ~ 1,999위안

중국 여성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금액은 평균 1,000위안 (원화 약 19만 원)에서 1,999위안 (원화 약 38만 원) 선이 가장 많습니다.

또한 1,000위안~3,000만 위안 이상 구매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전년 2021년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평균 이상인 비율이 전년대비 2.6% 증가하였는데요, 이는 여성들의 온라인 소비 능력과 선호도가 동반 상승하여 전반적인 '여성 경제' 효과가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위의 두 도표를 보면 중국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의 편의성으로 인해 여성 사용자의 지역 차이가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첫 번째로, 하침시장 (3선 도시 이하의 지역) 여성 사용자는 주로 타오바오, 핀둬둬 등과 같은 메인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을 주로 사용하며, 핫딜 라이브 방송 커머스 플랫폼도 동시에 선호합니다.

이는 중국 온라인 커머스에서 주목받는 라이브 방송을 통해서 쇼핑을 하는 트렌드가 하침시장까지 활성화되어 더 많은 중국 여성 경제가 공고히 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중국 여성들은 온라인에서 어떤 품목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을까요?

 

여전한 뷰티 - 화장품에 대한 관심

위 이미지는 통계 전 기간 동안 중국 커머스 플랫폼에서 일어난 전체 제품 카테고리 검색량 대비 해당 제품의 카테고리 검색량 비율을 수치화하여 나타낸 도표입니다.

위 첫 번째 도표를 보면 스킨케어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가 26.6%로 1위를, 색조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는 22.6%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여성 온라인 사용자들이 화장품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보여주고, 더불어 다른 제품 카테고리 보다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에서 화장품을 구매할 의향이 높다는 것을 말해 줍니다.

중국 로컬 화장품 브랜드와 글로벌 브랜드의 치열한 경쟁

몇 년 전부터 중국 로컬 화장품이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뷰티 브랜드 별 관심도를 살펴보면 Florasis, Perfect Diary 등 중국 로컬 브랜드에 대한 관심도가 TOP 10에서 나타나며, 이 중 중국 로컬 색조 브랜드 Florasis에 대한 관심도는 6.2%로 1위에 등극했습니다.

하지만 스킨케어 화장품 브랜드 측면에서는 에스티로더, 랑콤, 아르마니 등 글로벌 TOP 급 브랜드에 대한 관심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중국 광고업계 트렌드 '여성의 파워'

동계 올림픽이 불러일으킨 스포츠 열풍은 그대로 광고업계로 전파되었습니다.

스포츠 브랜드는 광고 투입을 증대하였으며, 모델로 여성 운동선수를 내세우면서 여성의 파워를 브랜딩에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원 KOL 콘텐츠

여성 인터넷 사용자가 끊임없이 증가하면서 KOL(Key Opinion Leader)의 홍보 콘텐츠는 지식, 패션 그리고 화장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 KOL 콘텐츠 수용자 로서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여성들이 직접 KOL 콘텐츠 창작자로 변모하고 있으며, 그중 뷰티 / 영유아 / 일반 제품 입문 분야에서 여성 창작자의 비중이 가장 높아 보입니다.

결론.

중국 시장에서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의 중요성은 나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소비 활동에 적극적인 여성 소비자들의 양적인 증가와 능동적인 온라인 소비 행태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나날이 커져만 가는 중국 온라인 커머스 시장에 진입하고 순조롭게 안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중국 여성들이 주목하고 관심 갖는 부분이 무언지 더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중국 시장 트렌드를 읽어주는 올리브 마케팅의 다음 포스팅을 기대해 주세요.

I'll be Back~~

<브랜드와 중국 소비자와의 만남을 설계하는 올리브 마케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