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브랜드와 중국 소비자와의 만남을 설계하는 올리브 마케팅입니다.

1편에서는 중국 여성 생활 소비의 전반적인 트렌드를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2022 여성 품질 생활 소비 트렌드 보고서>에 근거하여 현재 중국에서 관심받고 있는 '패션 및 생활용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고, 카테고리 별로 중국 여성들이 선호하는 브랜드 랭킹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패션은 화장품과 마찬가지로 중국 왕홍 라이브 방송에서 주된 콘텐츠입니다.

여성이 음식과 스킨케어에 있어서 더욱 신중해졌다면 패션, 생활용품에서는 보다 자유로운 태도를 보이며, 다양한 새로운 아이템을 시도해 다양한 여성의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사이즈 프리, '논 섹슈얼(nonsexual)' 소비는 소비의 포인트가 됐다.

온라인에서 프리 사이즈 속옷을 구매하는 것은 속옷 쇼핑 트렌드가 되어 여성들은 질감, 착용감 등을 더욱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태도의 변화는 겉옷에도 나타났습니다. 여성들은 뚜렷한 개인적 태도를 보여주는 무성별 주의, 친환경주의가 패션 핫이슈로 떠올렸습니다.

2018년에 여성 소비자의 중성 의류 구매 증가 속도는 남성의 두 배에 육박했습니다. CBNData 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의 여성 응답자가 '논 섹슈얼(nonsexual, 무성별)'은 이들의 패션 소비 태도를 대변하는 것이라고 대답하였습니다.

출처: CBNData
출처: CBNData

클래식한 중고 가방이 인기를 끌었다.

‘头豹研究院’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중고 럭셔리 아이템의 소비자 중 여성이 70%를 차지하고 클래식한 가방의 구매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최근 1년 동안 샤오홍슈에 중고 제품에 관련 내용은 90%가 가방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여성들이 주목하는 중고 가방 중 LV, Chanel, Coach의 클래식한 가방은 소장 가치가 가장 높다고 했습니다.

출처: CBNData
 

생활용품에 대해서 여성은 새로운 아이템의 시도를 통해 개성적인 태도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냈습니다.

다양한 향을 추구했다.

천연 성분, 브랜드 평판, 향조가 여성들의 향수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Z세대 여성들은 브랜드 평판, 향조, 민감성 피부 적용 여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1990년 이전에 출생한 세대들은 생산지, 안전성, 텍스처, 효능 및 오프라인 체험에 더욱 신경을 씁니다.

향조에 대해서는 과일향, 나무향, 꽃 향이 가장 인기가 많았습니다.

또한 향이 참가되는 보디워시, 샴푸 등 홈 케어 제품도 열광을 받았습니다.

출처: CBNData
출처: CBNData
 
출처: CBNData

스마트 헬스 기기가 사랑을 받았다.

코로나로 인하여 많은 여성들이 헬스를 대신 홈트를 선택해서 각종 스마트 헬스 기기가 인기를 끌고, 스마트 헬스 거울은 특히 여성들의 사랑을 받고 있었습니다. CBNData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Z세대 여성층 중 60%에 가까운 여성들이 헬스 거울을 구입하려고 대답했습니다.

출처: CBNData
 

마지막 2022년 중국 여성 품질 생활 애용 아이템 랭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브랜드들이 중국 여성들의 관심을 받고 있을까요?

🔸 세럼

출처: CBNData

1위: 시세이도 얼티뮨 파워 세럼

2위: 에스티 로더 갈색병

3위: 겔랑 어드밴스드 유쓰 워터리 오일

🔸 크림

출처: CBNData

1위: 키엘 울트라 훼이셜 크림

2위: 에스티 로더 리바이탈라이징 수프림 플러스 유스 파워 소프트크림

3위: 랑콤 압솔뤼 아이 크림

🔸 샴푸

출처: CBNData

1위: 비달 사순 샴푸 트리트먼트 세트

2위: 케라스타즈 방 덴시피크 옴므

3위: 로레알 히알루론산 샴푸

🔸 향수

출처: CBNData

1위: 디올 쁘와종걸

2위: 구찌 플로라 오드퍼퓸

3위: 샤넬 코코 누와르

🔸 중국식 보양 식품

출처: CBNData

🔸 1위: 샤오쉔둔(小仙炖) 제비집

🔸 2위: 정관장 홍삼원

🔸 3위: 워푸배루에(沃福百瑞) 구기자

 


 

지금까지 '2022년 중국 여성 생활 소비 트렌드 보고서' 분석했는데요~

보고서를 종합해 보면 나날이 성숙해지는 여성 소비자들이 전통적 소비층의 성별 규정을 깨뜨리고 그들은 더 개성적이고 이성적인 소비로 지속적으로 '타징지'에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고 있습니다.

남성 위주의 품목이든, 여성이 소외된 품목이든 '타징지'의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여성의 캐릭터가 더 다양해지고 이미지가 더 풍부해진 지금, 중국에서 ‘타징지’의 미래는 더 많은 가능성이 있을 거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중국은 시장이 큰 만큼 산출되는 데이터의 양이 어마어마합니다.

또한 시시각각 다양한 이슈로 시장 흐름 변화의 속도도 빠르죠.

이러한 중국을 소비자의 시각에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브랜드에 접목시키는 일은 정말 중요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현재 중국에서 일어나는 시장 및 산업 뉴스를 보기 편하고 빠르게 전해 드릴게요.

중국 시장 트렌드를 읽어주는 올리브 마케팅의 다음 포스팅을 기대해 주세요.

I'll be Back~~

www.olive-m.com  

 

중국 온라인 마케팅, 왕홍 마케팅 솔루션|올리브 마케팅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중국 온라인 & 왕홍 마케팅을 만나보세요.

www.olive-m.com

 

안녕하세요.

브랜드와 중국 소비자와의 만남을 설계하는 올리브 마케팅입니다.

2년 동안 지속된 코로나19 사태가 전례 없는 방식으로 우리의 생활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액센츄어(Accenture) 조사에 따르면 57%의 중국 소비자들이 코로나19가 자신의 소비습관을 바꾸었다고 응답했어요.

 

제일재경상업데이터센터(CBNData)가 <2022 여성 품질 생활 소비 트렌드 보고서>를 발간하고 설문 조사 자료를 통해 여성의 소비 관념, 쇼핑 습관, 제품 선호 등 구상적 표현에서 6가지 여성의 소비 트렌드를 정리했습니다.

‘타징지(她经济,중국의 신조어로 경제 현상에 미치는 여성의 영향력이 증가했다는 의미)’의 시대에 여성은 중요한 소비층으로 자리 매기고 있어서 여성의 소비 트렌드를 잘 파악하는 것은 중국 시장 진출이나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관련 분석 자료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의 태도가 '타징지'를 이끄는 새로운 시대

중국은 20~60대 여성 소비자가 약 4억 명, 10조 위안 규모의 소비시장을 떠받치고 있습니다.

여성 소비 물질적 기반과 교육수준이 끊임없이 향상되어 여성은 기본적인 욕구 외에 정신적 만족과 이성적 소비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정신적 만족

🔸 이성적 소비

개인의 태도가 '타징지'를 이끄는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출처 : CBNData

스킨케어 제품의 성분 및 효능 중시

🔸 안티에이징, 릴렉싱, 트리트먼트

🔸 히알루론산, 콜라겐, 비타민C

여성은 노화라는 가장 큰 적을 이성적인 눈으로 바라볼 줄 알게 되었습니다.

‘丁香医生’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70%의 여성 응답자가 노화를 태연하게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피부 케어에 있어 여성은 성분과 효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CBNData

70% 이상의 여성 소비자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성분의 영향을 받는다고 했습니다.

안티에이징, 릴렉싱 트리트먼트는 여성들이 주요 관심 갖는 효능이며 히알루론산, 콜라겐, 비타민C는 여성들이 주요 관심 갖는 성분입니다.

출처: CBNData

건강에 대한 관심 증폭!!

🔸 성분 중시

🔸 저염, 저오일

🔸 0당분/0지방/0칼로리

음식에 대해서는 ‘성분 중시’, ‘저염 저오일’, ‘0당분/0지방/0칼로리’가 여성 음식 소비의 주된 기준이 되었습니다.

중국은 지난 10년에 비해 식사 영양과 건강 상태가 많이 개선됐지만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비만율과 과체중률이 눈에 띄게 높아지고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탕과 소금을 줄이는 수요가 일상식으로 침투하고 있습니다.

달지만 살이 찌지 않는 설탕 대체재 제품 수요가 증대했고, 연구에 따르면, 설탕 대체 감미료와 설탕 대체재 베이킹은 샤오홍슈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출처: CBNData

건강기능식품도 간편식화!!

즉석 중국식 건강기능 식품이 2022년 중국 여성들의 음식 소비 핫이슈로 떠올랐습니다.

간식화, 즉석화는 전통 중국식 보양식의 새로운 방향이 되었습니다.

견과류/귀리 원료의 음료는 여성 위주의 샤오홍슈 유저들로부터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약 90% 인기 즉석식품의 콘텐츠 내용은 중국식 건강기능 식품과 관련되어 있으며, 제비집, 화교(花胶) 등은 주요 즉석 보양식의 재료로 나왔습니다.

이런 가벼운 원재료, 휴대하기 편리하는 형태의 제품들은 여성의 건강, 영양, 편리함, 맛에 대한 니즈를 종합적으로 만족시켰습니다.

저칼로리 보양 간식 인기 상승

설탕이 없는 흑임자환은 여성 인기 상품이 되었고 2022년 설 명절에 전년 동기 대비 105.9%의 매출액을 올렸습니다.

여성 소비자들이 보양 간식을 살 때 칼로리, 당의 함유량은 중요한 구매 기준이 됐습니다.

전통 간식과 달리 설탕이 없는 흑임자환은 저칼로리 판매 포인트로 여성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았습니다.

출처: CBNData

콜라겐 제품 형태 다양화

콜라겐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형태가 더욱 다양해졌습니다. 제비집 및 화교(花胶)가 일상 보양 식품이 되었고 심해피쉬콜라겐의 인기가 많아졌으며, 대부분 제품은 음료의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CBNData

마이너적인 미용 성분 관심 급증

현재 건강 기능 식품의 형태는 드링크제, 캡슐, 침제, 젤리 등 있으며, 이 중에 젤리형 제품의 증가 속도가 높았습니다.

마이너적인 미용 성분은 나이아신, 아보카틴의 언급도가 높았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천연 항산소 성분인 엽록소, 동앵화는 2022년 인기 성분으로 예측되었으며 주간 평균 검색 수 및 전년 동기 대비 증가에서 모두 우위에 섰습니다.

출처: CBNData

지금까지 식품 및 화장품에 대해서 2022년 중국 여성 생활 소비 트렌드 분석을 했는데요~

중국에서 여성들의 소비경제가 주요한 화두로 주목받고 있는 지금, 중국 여성들이 소비활동을 할 때 어떤 부분을 중시하는지 알아보는 건 중국에 진출할 때 가장 기초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작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음 편은 현재 중국에서 관심받고 있는 '패션 및 생활용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중국 시장 트렌드를 읽어주는 올리브 마케팅의 다음 포스팅을 기대해 주세요.

I'll be Back~~

 

www.olive-m.com  

 

중국 온라인 마케팅, 왕홍 마케팅 솔루션|올리브 마케팅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중국 온라인 & 왕홍 마케팅을 만나보세요.

www.olive-m.com

 

 

 

 

+ Recent posts